子曰聽訟吾猶人也(자왈청송오유인야) 必也使無訟乎(필야사무송호)
공부자께서 말하시대 송사를 듣게됨이 내 남들과 같음이나 기필코 하여금 송사를 없애고자함이로다
范氏(범씨)가 말하기를 송사를 듣는 것은 그 끝을 다스리는 것이라 그 흐름을 막는 것이니 근본을 바르게 하고 근원을 맑게 한다면 송사가 없어지는 것이라 하였다
벽허 말한다면 =근본을 다스리게된다면 흘러갈게 없어선 끝에 와선 어지럽게 다스릴 것이 없다는 말일 것이다
楊氏(양씨)는 말하기를 子路(자로)는 조각 말로서 獄事(옥사)를 결단내어도 예의로써 사양할줄 모르는 지라 그런 식으로 나라를 위한다면 잘 백성으로 하여금 송사 없게끔 하질 못할것이라 그러므로 또 공자의 말씀으로 기록함인 것이라 성인께서 송사를 듣는 것이 어려움되지 아니하여도 백성으로 하여금 송사가 없게함을 귀함을 삼는다 함인 것이리라
子張問政(자장문정)子曰居之無倦(자왈거지무권) 行之以忠(행지이충)
자장이 정치를 물은대 孔夫子(공부자)대답하길 모든 마음씀에 권태로와 말 것이며 행실이 충직 스러워야 되나니라 하시다
* 居(거)라 하는 것은 존재하는 대 마다 모든 마음 씀씀이를 가리킴이다 권태로와 말으면 그 시작과 마무리가 하나같다 할
것이고, 行(행)이라 하는 것을 일을 일으키는 것이니 충직스러운 즉 겉과 속이 하나같다 함인 것이다
程子(정자)는 말하대 子張(자장)이 젊어 어질어도 성심없이 백성을 사랑한다면 필히 권태로와 할것이므로 마음을 씀을 다하지 못할 것인지라 그러므로 이러함으로써 고하게됨인 것이다
子曰博學於文(자왈박학어문) 約之以禮(약지이예) 亦可以弗畔矣夫(역가이불반의부)
공자 말하대 널리 배우대 문장으로서 하고, 예의로써 요약하여 묶는다면 역시 바르다 할 것이니 경계 구획을 긋는데서 벗어나지 않는 丈夫(장부)라 할 것이니라
畔(반)=두둑 , 논밭의 경계, 경계, 백이랑의경계,물가, 물녘,
子曰君子(자왈군자)成人之美(성인지미) 不成人之惡(불성인지악) 小人反是(소인반시)
공자 말하대 군자는 남의 아름다운 면은 성취시켜선 돋보이게 하고 , 남의 나쁜 점은 성사 되지 않게 한다 하나니 소인들은 이와
반대라 하나니
벽허 말= 소인은 남 안되는 것을 자기 잘 되는 것보다 더 고소하게 여기 나니라
여기서 成(성)이라하는 것은 달래고 부축해선 권장하여선 힘쓰게 함으로써 그 일이 成事(성사)되게하는 것이다, 군자와 소인 사이의 존재하는 것은 이미 그 두터움과 얇음의 다름이 있고, 그 좋아 하는 바가 또한 善惡(선악)의 다름이 있음인지라 그러므로 마음 씀씀이도 같지 않음이 이 같으다 할 것이다
掖(액)= 겨드랑, 끼다, 겨드랑에 끼다, 부축하다, 곁부축하다,
奬(장)=勸勉(권면)하다, 돕다, 칭찬하다
季康子問政於孔子(계강자문정어공자) 孔子對曰(공자대왈)政者正也(정자정야)子帥以正(자수이정) 孰敢不正(숙감부정)
계강자가 정치를 공자에게 물은대 공자 대하여 말하기를 정치라 하는 것은 바르게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그대가 통솔하는 것이 바르다면 어느
것인들 또는 그 누가 감히 바르지 않을 것인가 하시다
范氏(범씨)는 말하기를 자기를 바르지 않게하고 남을 잘바르게 하질 못할 것이라 하고, 胡氏(호씨)는 말하기를 魯(노)나라
中葉(중엽)으로부터 정치가 大夫(대부)로 말미암아 나왔는지라 家臣(가신)들이 본받아선 자신들이 寄居(기거)하는 邑(읍)에서 웅거하여선
背叛(배반)들을 하여선 바르지 않음이 심한지라 그러므로 공자 이로써 고하게됨인 것이다 康子(강자)를바르게 하고자 함인 것이다 강자
자신 스스로를 극복하면 大夫(대부) 三家(삼가= 당시 노나라 勢道家(세도가) 세 집안)들이 개혁할 것이므로 그렇게 말하심이었음인
것이다 애석할 진져 康子(강자) 利慾(이욕)에 빠져서는 잘 그렇게 하지 못하고 말았다
季氏(계씨)는 魯(노)나라의 子爵(자작)地位(지위)에 해당한다 하고 공자의 後見人(후견인)으로서 孔子
(공자)는 그 康子(강자)집에 執士(집사)정도의 위치가 된다 하였다
季康子患盜問於孔子(계강자환도문어공자) 孔子對曰(공자대왈)苟子之不欲(구자지불욕) 雖賞之不竊(수상지불절)
계강자 도적을 근심 내어선 공자에게 물은대 공자 대하여 말하기를 진실로 그대가 욕심이 없다면 비록 상줄려 할지언정 훔치려 들진 않을 것이다
그대가 탐욕하지 않는다면 비록 백성들이 상줄려 할지언정 백성이 도적 됨을 역시 부끄럽게 알고선 훔치려 들진 않을 것이다 하시다
胡氏(호씨)는 말하대 季氏(계씨)는 권력의 자루를 훔치고, 康子(강자) 嫡統(적통)을 빼앗았으니 백성의 도적 되는 바의 그 立地(입지)를
굳게 한 것이라 대저 역시 그 근본을 背叛(배반)한 것인 것이라
孔子(공자) 그 의미심장한 그 뜻을 직설하여 열고자
아니하였음이라
* 所以(소이) 자기 상전한테 '너 도둑넘이다' 이래 말하기 뭣하여선 그래 아니 했다는 말로서 우회적인 말로서 알아듣게 하였으나 강자는 제대로 알아듣지 못했다는 말이리라
奪嫡事(탈적사)의 일은 春秋傳(춘추전)을 보면 알 것 이 나니라
嫡(적)=정실, 본처, 본처가 낳은 아이,맏아들, 대를 이을 사람,
'블로그 이동전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계사 하 1 (0) | 2017.06.09 |
---|---|
[스크랩] 계사 12 (0) | 2017.06.09 |
[스크랩] 계사 11 (0) | 2017.06.09 |
[스크랩] 공야장 12 (0) | 2017.06.09 |
[스크랩] 간위산괘 초효 추가 해석 (0) |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