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逆說觀(역설관)과 顚倒觀(전도관) 逆說觀(역설관)과 顚倒觀(전도관) . 역설관 과 전도관 이란 주제하에 논리를 전개 해볼가 한다 역설관이란 그 이치를 거슬러서 관찰하는 것이고 전도관 역시 그 이치를 뒤집어서 보는 것이라 거의 같은 관찰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찰이나 논거는 대략 신비성에서 많이 찾을수 있는데 귀..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
[스크랩] 도덕경 주해를 달은사람.... 蘇子由[소자유]는 소동파 소식의 동생 소철로서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이다 여길보도 송나라 시절의 사람이다 박서계는 조선의 학자이다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
[스크랩] 노자 도덕경 주해 번역 국자감편 *노자 도덕경 해설 道德經(도덕경) 本文(본문) 一章(일장)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고상무 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욕이관기묘 상유욕이관기요 ..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
[스크랩] 금강경 해설 금일서 부터는 釋(석)氏(씨)[고타마 싯달타]의 金剛經(금강경)을 풀어 볼가한다 현존하는 석존의 말씀이 모두 그 제자들이 꾸며낸 글로서 그 거짓글에 가깝다하는 설이 있으나 그래도 사람들 한테 덕이되는 말씀이 많은지라 주제넘게 한번 해석해 보고자 하는데 내가 天竺(천축)의 말은 알..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
[스크랩] 14. 所謂(소위) 白虎 大殺[백호 대살]이란 무엇인가 14. 所謂(소위) 白虎 大殺[백호 대살]이란 무엇인가? 어떤 학자가 인터넷 강의를 하는데 육갑으로 논할 것 같으면 地支(지지) 十(십)二(이) 짐승중에 세 번째인 地支(지지) 寅(인)이 범이라 하고 서방 백색이 떨어지는 天干(천간) 庚(경)을 부합시키면 白虎(백호)일텐데 정작은 庚寅(경인)은 白..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
[스크랩] 13. 한글 音靈(음령) 五行(오행) 바로 세우기 13. 한글 音靈(음령) 五行(오행) 바로 세우기 한글 音靈五行(음령오행)에 대하여 한말씀 올리고자한다 何人(하인)이 그 발음 오행상 子音(자음)의 旣存(기존)의 五行(오행) 配置局(배치국)이 잘못 되었다해서 새로 바르게 하여논 다고 하여선 그 오행의 規則(규칙)을 顚覆(전복)시키는 논리를..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
[스크랩] 12. 十二支(십이지) 字形(자형)解說(해설) 12. 十二支(십이지) 字形(자형)解說(해설) 亥(해)형을 볼 것 같으면 十(십)이란 천문이 갈리어 벌어지는 형태 열리는 형태를 짓는데 이것이 玄字(현자)형을 짓는 것 갖기도하고 之字(지자)형을 짓는 것 같기도 한데 왔다갔다 계속 움직이며 엇비슴하게 긋는 그림을 그려 나간다로 볼수 있는..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
[스크랩] 8. 삼형의 성립원리 해설 8. 삼형의 성립원리 해설 * 作書에서 三刑에 대해서 언급하였는데 삼형은 무엇이 어떻게 성립되는 것인가를 잠간 나름대로 고찰한다면 음양가의 말씀에 필자의 천박한 견해를 덧붙친다면 이렇다, 태극상 水木局이 東北一家에 居하고 , 火金局이 西南一家에 居해서 서로간 陰陽家를 이룸..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
[스크랩] 5. 陽爻(양효)를 九(구)라 指稱(지칭)하고 陰爻(음효)를 六(육)이라 지칭 5. 陽爻(양효)를 九(구)라 指稱(지칭)하고 陰爻(음효)를 六(육)이라 지칭한다 九(구)나 六(육)이란 말이 卦爻辭(괘효사) 풀이에 자주 나오는데 처음 글을 대하는 자는 무슨 것을 의미하는 것인지 잘 모를수 있음으로 이렇게 附言(부언) 설명하는 바이다 원래 九(구)와 八(팔)이 陰陽(음양)의 最..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
[스크랩] 음양 오행에 관하논거 2. 복회괘에서 문왕괘 형성 설명 후천 문왕 八卦圖(팔괘도)란? 소이 소용 돌이나 나선 흐름의 양상을 가리킨 선천 복회 팔괘도를 입체적으로 본 것에 불과한 것인데 그것을 신비하게 볼 것이 하나도 없다할 것이다 乾坤(건곤) 對稱(대칭)을 나선흐름이 형성되면서 생긴 것이라 가장할 것 .. 블로그 이동전용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