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동전용

[스크랩] 논어 안연 6

투가리 부젓갈 2017. 6. 9. 07:34

 

棘子成曰(극자성왈)君子質而已矣何以文爲(군자질이이의하이문위)

극자성이 말하기를 군자는 바탕일 따름이라 무엇 하러 문색 질을 할 것인가?
* 극자성은 衛(위)나라 대부이다
당시의 사람들이 文飾(문식)하는 것이 낫다하는 것을 疾視(질시)해서 故(고)로 이러한 말을 하게됨인 것이다


子貢曰惜乎(자공왈석호) 夫子之說君子也(부자지설군자야) 駟不及舌(사불급설)

子貢(자공)이 말하대 애석한 질젼져  그대의 군자라는 의미를 가리켜하는 말이여 -  네 마리의  수레를 끄는 馬(마)로써 追擊(추격)을 해온다 해도  말솜씨로 으시대는 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 같구료 -

자성의 말은, 그 군자라 하는 의미를 가리켜하는 말인데 그러나  말씀이 혀에서 나온다면  네 마리의 수레를 끄는 馬(마)로서 잘 추격치 못한다함은  또 그 실언함을 애석히 여기는 것이라 할 것이다  , 소이 모자르는 말을 하였다는 것이니 군자를 가리키는 참뜻을 제대로 理解(이해) 못한다는 그런 의미 이리라


文猶質也質猶文也(문유질야질유문야) 虎豹之 猶犬羊之 (호표지곽유견양지곽)
문체가 바탕 같고 바탕이 문체 같으면 호랑이와 표범의 털 깍은 가죽은 개나 양의 털 깍은 가죽이나 같다 함이리라
곽은 털을 버린 생가죽인데  이것은 바탕의 문체 등을 말할 뿐이리라  바르지 못한 모양이니, 필히 그 모든 문늬를 버리만 같음만 함이 없음이라서, 유독 그 바탕만 존재 한다면 군자와 소인을 분별함을 사용할 것이 없다할 것이다

대저 棘子成(극자성)는 당시의 弊端(폐단)을 矯正(교정)하려고 실로 지나친 失言(실언)을 한 것 이라서
子貢(자공)이 子成(자성)의 弊端(폐단)을 矯正(교정)시키고 또 本末(본말) 輕重(경중)의 差等(차등)에 대한 모든 失策(실책)을 없게 함인 것이리라

출처 : 마음이 맑음 주위가 온화해진다
글쓴이 : 푸른하늘 리금오 원글보기
메모 :